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Typescript
- react-hook-form
- 리액트
- react-native
- 자료구조와알고리즘
- ios
- React
- 코드숨
- 제네릭타입
- sort( )
- 유니온타입
- Android
- react-native-vision-camera
- 리액트네이티브
- 타입스크립트
- 파스에러
- slice
- react-native-image-picker
- 리액트쿼리
- 프로그래머스
- 크라코
- javascript
- 배열
- 자바스크립트
- js
- react-native-camera-roll
- craco
- reactnative
- Flipper
- 모던자바스크립트
- Today
- Total
KassyLog
[모던 자바스크립트]strict mode(엄격모드) 본문
Strict mode - JavaScript | MDN
Callout: 가끔 엄격하지 않은 기본값을 " 느슨한 모드 (en-US)(sloppy mode)"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공식적인 용어는 아니지만 혹시 모르니 알아두세요.
developer.mozilla.org
잠재적인 오류를 발생시키기 어려운 개발 환경을 만들고 그 환경에서 개발하는 것이 오류를 줄이고 안정적인 코드를 생산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ES5부터 strict mode(엄격모드)가 추가 되었고, 이는 자바스크립트 언어의 문법을 좀 더 엄격히 적용하여 오류를 발생시킬 강능성이 높거나 자바스크립트 엔진의 최적화 작업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코드에 대해 명시적인 에러를 발생시킨다.
- ESLint
린트 도구를 사용해서 strict mode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적 분석기능을 통해 소스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소스코드를 스캔하여 문법적인 오류만이 아니라 잠재적 오류까지 찾아내고 오류의 원인을 리포팅해주는 유용한 도구다.
- strict mode의 적용
strict mode를 적용하려면 전역의 선두 또는 함수 몸체의 선두에 'use strict';를 추가한다.
전역의 선두에 추가하면 스크립트 전체에 strict mode가 적용된다.
"use strict";
...
(function() {
'use strict';
})()
하지만 전역으로 strict mode 적용과 함수 단위로 적용하는 것은 피해야한다.
이유는 외부 서드파티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경우 라이브러리가 non-strict mode인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전역에 strict mode를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경우 즉시 실행함수로 스크립트 전체를 감싸서 스코프를 구분하고 즉시 실행 함수의 선두에 strict mode를 적용한다.
그러나 어떤 함수는 strict mode를 적용하고 어떤 함수는 strict mode를 적용하지 않는 걳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모든 함수에 일일이 strict mode를 적용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다. 그리고 strict mode가 적용된 함수가 참조할 함수 외부의 컨텍스트에 strict mode를 적용하지 않는다면 이 또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던 자바스크립트]this (0) | 2023.01.29 |
---|---|
[모던 자바스크립트]빌트인 객체 (0) | 2023.01.29 |
내장 메서드 활용하기 (0) | 2023.01.23 |
[모던 자바스크립트]함수와 일급 객체 (0) | 2023.01.22 |
[모던 자바스크립트]클로저 (0) | 2023.01.21 |